위암 / 대장암 / 직장암


위암 


복부 불쾌감이나 복통이 배변이나 배변습관의 변화와 관련되고, 배변 장애의 양상과 관련되는 기능장애로 크게 3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장의 운동이 과도해지면서 나타나는 설사형, 장 운동이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변비형, 그리고 이 두 형태가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혼합형이 있습니다. 

때로는 배변형태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고 장의 경련과 감각이 예민해지면서 나타나 복통이나 불편감만을 나타내는 통증형을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위장관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의 3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으며 환자의 절반은 35세 이전부터 증상이 시작되며 나머지는 35세부터 50세에서 증상이 시작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진단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주된 증상들로는 복통, 설사, 변비, 복부 팽만감과 과도한 장내가스, 배변 후의 잔변감 및 면의를 참기 어려움 등이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다음의 조건들로 과민성 장 증후군을 진단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다음의 증상이 동반되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비정상적 배변횟수 
  • 배변의 1/4이상이 비정상적 변의 형태 (토끼 똥 같거나, 딱딱하거나 무른 형태의 변)
  • 배변의 1/4이상 비정상적인 배변 (과도하게 힘을 주며 배변하거나 잔변감이 있는 경우)
  • 배변의 1/4에서 점액성 변을 보게 된다.
  • 연중 1/4이상 배가 부글대고 부르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원인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장의 운동 이상, 내장과 방벽의 감각기능 이상, 심리적인 원인(스트레스), 장내 감염, 자극적인 식사, 내분비 이상 등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하나 하나가 단독으로 증상을 발생시킨다고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이들 중 특히 심리적 원인(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증 등), 장 운동 이상, 장 감각 이상이 자율신경계를 통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치료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약으로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 아닙니다. 

치료목적은 완치가 아니라 개인마다 증상이 나타나는 유발인자를 찾아내어 피함으로써 증상이 나타나는 횟수와 강도를 감소시키고, 일단 증상이 나타나면 대증요법으로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입니다. 


  심리적으로 안정, 스트레스 조절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심리적 원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주변의 스트레스를 없애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배변습관, 규칙적인 수면을 해야 합니다.

  식사 조절  

증상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음식물의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장내 가스 생성을 증가시키는 고칼로리 식사, 탄산음료/술/카페인음료 등이 있습니다. 

빠른 식사도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천천히 식사하는 습관을 갖도록 합니다. 

  약물치료  

환자의 증상에 따라 약물을 결정하게 됩니다. 

장의 운동이 과도해지면서 나타나는 설사형, 장 운동이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변비형, 그리고 이 두 형태가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혼합형 

3가지 유형에 따른 약물을 맞춤 치료합니다.